맨위로가기

색 공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색 공간은 색상, 명도, 채도를 3차원 공간으로 표현하는 방식으로, 컬러 디자인 및 공학 분야에서 기본적으로 이해해야 할 개념이다. 색 공간은 CMYK, RGB, HSV, CIE 등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각각 인쇄, 모니터, 시각 예술, 색차 계산 등 다양한 목적과 활용 분야에 사용된다. 색 공간은 색을 정량적으로 나타내는 표색계와 색상 변환을 통해 한 기준에서 다른 기준으로 변환될 수 있으며, 절대 색 공간과 비절대 색 공간으로 구분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배색 - 다크 모드
    다크 모드는 어두운 배경에 밝은 텍스트를 표시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테마로, 초기 컴퓨터 화면에서 유래하여 현대 운영체제 및 웹 브라우저에 널리 사용되며, OLED 디스플레이 에너지 절약 효과와 CSS 미디어 기능을 통한 사용자 맞춤 스타일 적용이 가능하다.
  • 측광학 - 람베르트 반사
    람베르트 반사는 이상적인 난반사면의 특징으로 관찰 방향에 관계없이 동일한 휘도를 갖지만, 표면의 법선 방향과 이루는 각도에 따라 광도가 달라지는 반사 특성이며, 컴퓨터 그래픽스에서 확산 반사를 모델링하는 데 사용되고 빛뿐만 아니라 초음파와 같은 다른 파동에도 적용될 수 있다.
  • 측광학 - 명도
    명도는 색을 정의하는 주요 요소 중 하나로, 빛의 밝고 어두운 정도를 나타내며, 색 공간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표현된다.
  • 색 공간 - SÉCAM
    SECAM은 프랑스에서 개발된 아날로그 컬러 텔레비전 방송 방식으로, PAL에 비해 수직 색 해상도가 낮고 아날로그 편집이 어려운 단점이 있으며, 프랑스의 옛 식민지, 일부 동유럽 국가, 소련 등에서 사용되었으나 현재는 사용 국가가 크게 감소하였다.
  • 색 공간 - PAL
    PAL은 발터 브루흐가 개발한 컬러 텔레비전 방송 표준으로, 위상 오차 자동 보정 기능을 가지며, 다양한 변종이 존재했으나 디지털 방송으로 전환되며 사용이 감소하고, 색상 정보 인코딩 방식을 나타낸다.
색 공간
색 공간 정보
정의색 공간은 색상을 조직화하는 특정 방법이다.
개요
설명색 공간은 색상을 정의, 생성 및 시각화하기 위해 색상의 범위를 특정 방식으로 조직화하는 것이다.
색 공간의 종류
종류RGB
CMYK
HSV
CIELAB
YCbCr
sRGB
Adobe RGB
응용 분야
디지털 이미지 처리색 공간은 디지털 이미지 처리, 컴퓨터 그래픽스 및 비디오 처리에서 필수적인 역할을 한다.
컬러 관리색 공간은 색상 관리 시스템의 중요한 부분으로, 다양한 장치 간에 일관된 색상 표현을 보장한다.
참고 자료
논문색 공간의 메트릭

2. 색 공간의 이해

색 공간은 색상(hue), 명도(lightness), 채도(chroma)의 3속성을 기반으로 색을 3차원 공간에 표현하는 방식이다. 이러한 색 공간은 컬러 디자인이나 컬러 공학 등에서 색을 다루는 데 있어 기본적으로 이해해야 할 개념이다.[1]


  • 색상(Hue): 빨강, 노랑, 초록, 파랑, 보라 등 색의 종류를 나타낸다. 색 공간에서는 적도 상의 경도, 즉 색상각(0도~360도)으로 표현되며, 시계 방향으로 변화한다. 서로 보색 관계인 대응색 관계를 쉽게 나타낸다.
  • 명도(Lightness): 색의 밝고 어두운 정도를 나타낸다. 남극(검은색)과 북극(흰색)을 연결하는 축으로 표현되며, 그 사이에는 회색이 배열된다.
  • 채도(Chroma, Saturation): 색의 깨끗한 정도를 나타낸다. 명도 축을 0으로 하고 적도에 가까워질수록 커진다.


색 공간은 각종 산업 디자인에서 사용되는 따뜻한 색, 차가운 색 등의 색감에 따른 색의 배열이나 배치에도 응용된다. 이러한 개념은 CIELAB 색 공간에서 좌표로 다룰 때 더 명확하고 정확하게 표현될 수 있다. 그러나 CIELAB 색 공간은 CIEXYZ 색 공간으로 변환한 다음 다시 RGB나 CMY 데이터로 변환해야 하는 과정이 필요하며, 이는 색 이론을 통해 해결할 수 있다.

2. 1. 색차 계산 (Color Difference)

균등 색 공간에서 거리와 간격은 지각적인 색의 거리 및 간격과 유사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이러한 공간은 색상의 물리적 차이보다는 인간의 지각적 차이에 중점을 두고 있으며, 산업적으로는 공업 제품의 색채 관리에 사용된다.[1]

3. 자주 쓰이는 색 공간

CMYK와 RGB 색상 모델의 비교. 이 이미지는 컴퓨터 모니터(RGB)에서 색상이 어떻게 보이는지, 특정 CMYK 인쇄 프로세스에서 어떻게 재현되는지의 차이점을 보여준다.


목적과 활용 분야에 따라 다양한 색 공간이 사용된다.

CMYK 색상 모델은 청록색(cyan), 자홍색(magenta), 노란색(yellow), 검은색(black)을 사용하며 주로 인쇄에 사용된다. RGB 색상 모델은 빨강(red), 녹색(green), 파랑(blue)을 사용하며 컴퓨터 모니터 등에서 색상을 표현하는 데 사용된다. HSL 또는 HSV 색상 모델색상, 채도, 명도를 기반으로 하며, 모니터에서 색상을 표현하는 또 다른 방법이다.

팬톤과 같이 일부 색 공간은 3차원 값으로 나타낼 수 없거나, 더 많거나 적은 차원을 가지기도 한다.

3. 1. RGB 색 공간

RGB 색 공간 모형


RGB 색 공간은 명도가 올라가는 가산 혼합 방식으로 색을 표현한다. RGB 가산혼합의 삼원색은 빨강(R), 녹색(G)[24], 파랑(B)을 뜻하며, RGBA은 RGB에 투과도를 나타내는 알파(A)를 덧붙인 것이다. RGB 색 공간은 삼원색 채널의 밝기를 기준으로 색을 지정하며, 웹 색상 표현의 기본 원리이다.

토머스 영헤르만 폰 헬름홀츠는 눈의 망막이 빨강, 녹색, 파랑에 대한 세 가지 종류의 빛 수용체로 구성되어 있다고 가정했다.


1802년, 토머스 영은 눈에 세 가지 유형의 광수용체(원추 세포)가 있다고 가정했는데, 각 수용체는 특정 범위의 가시광선에 민감했다.[2] 1850년, 헤르만 폰 헬름홀츠는 영-헬름홀츠 이론을 발전시켜 세 종류의 원추 광수용체가 빛의 파장에 따라 단파장 (파랑), 중파장 (녹색), 장파장 (빨강)으로 분류될 수 있다고 주장했다. 뇌는 세 종류의 원추 세포에서 감지된 신호의 상대적 강도를 해석하여 가시적인 색상을 만든다.

헤르만 그라스만은 색 공간 개념을 발전시킨 인물로 추정된다. 그는 기하학적 개념을 ''n''차원 공간에서 대수적으로 표현할 수 있게 해주는 벡터 공간 아이디어를 개발했다.[3] 1853년에는 색상이 혼합되는 방식에 대한 이론을 발표했으며, 이는 그라스만의 법칙으로 알려져 있다.[5]

가산 혼합: 진공 상태에서 겹치는 세 개의 전구는 흰색을 생성한다.


감산 혼합: 흰색 종이에 세 개의 페인트 얼룩이 서로 빼면서 종이를 검게 만든다.


RGB 색상 모델은 시스템 기능에 따라 다양하게 구현된다. 2021년 현재 가장 일반적인 구현은 24-비트 구현으로, 채널당 8비트(256개 색상 레벨)를 사용한다.[7] 따라서 24비트 RGB 모델 기반 색 공간은 약 1670만 색상 범위로 제한된다. 일반적인 RGB 모델 기반 색 공간에는 sRGB, Adobe RGB, ProPhoto RGB, scRGB, CIE RGB가 있다.

RGB는 가법 혼합을 표현하는 데 사용되며, 빨강(red), 녹색(green), 파랑(blue)의 머리글자이다. 빛의 삼원색으로, 수치를 늘릴수록 흰색, 줄일수록 검정에 가까워진다. 컴퓨터 모니터는 RGB를 사용한다.

사람의 눈은 빛의 삼원색에 가까운 3파장에 대응하는 망막의 원추 세포로 색을 지각한다. 개인차가 있고, 순수한 3파장을 준비하기 어렵기 때문에 혼색계 색 공간에는 다양한 종류가 있다.

컴퓨터에서 표시 가능한 색 수는 픽셀당 할당되는 비트 수에 따라 결정된다. 인간이 식별 가능한 한계는 RGB 각 8비트(총 24비트)의 1677만 7216색이며, 풀 컬러 또는 트루 컬러라고 불린다.

3. 1. 1. sRGB

국제전기표준회의(IEC)가 정한 국제 표준 규격이다. 일반적인 모니터, 프린터, 디지털 카메라 등에서는 이 규격을 준수하며, 서로의 기기를 sRGB에 따라 색상 조정을 함으로써 입력 시와 출력 시의 색상 차이를 줄일 수 있다.[24]

3. 1. 2. Adobe RGB

'''Adobe RGB'''는 어도비에서 제안한 색 공간 정의로, sRGB보다 넓은(특히 녹색이 넓은) RGB 색 재현 영역을 가지며, 인쇄나 색상 교정 등에서 적합성이 높고, DTP 등의 분야에서 표준적으로 사용되고 있다.[24]

3. 1. 3. DCI-P3

디지털 시네마용의 넓은 색역(특히 빨강이 넓음)을 가진 색 공간이다. 영어: Digital Cinema Initiatives가 제안하였다.[24]

3. 1. 4. Rec. 2020 / Rec. 2100

ITU-R BT.2020BT.2100의 하위 규격이며, 요구 사양은 거의 동일하지만, 풀HD와 HDR에는 대응하지 않는다. 풀HD 영상에서 사용되는 BT.709를 확장하여 제정되었다. 2012년에 제정되었으며, 2015년에 갱신되었다.[24]

ITU-R BT.2100은 "Broadcasting service (television) 2100"의 약칭이다. 국제 전기 통신 연합 무선 통신 부문(ITU-R)이 2016년 7월에 제정한, 풀HD(2K), 4K, 8K의 해상도를 다루는 장치가 만족해야 할 사양에 대한 국제 규격이다. 디지털 시네마의 색 공간을 포함하며, 실존하는 물체의 색 공간 중 99.9%를 재현한다. 또한, HDR에도 대응하여 현실 세계의 빛의 콘트라스트를 더 잘 재현한다. 현재 가장 넓은 색 공간으로, BT.2020을 확장하여 제정되었다.

3. 2. CMYK 색 공간

CMYK 색 공간은 인쇄 과정에서 쓰이는 감산 혼합 방식으로, 흰 바탕에 네 가지 잉크의 조합으로 색을 나타낸다. CMYK는 옥색(Cyan), 자홍색(Magenta), 노랑(Yellow), 검정(Black) 잉크를 뜻한다. 색을 혼합하면 명도가 낮아지기에 감산 혼합이라고 한다.[9]

CMYK 색 공간의 원리


이론상 CMY를 모두 균등하게 섞으면 검은색이 되지만, 잉크나 종이의 특성상 CMY 잉크를 섞어 깨끗한 검은색을 만드는 것은 기술적으로 어렵다. 일반적으로 모두 섞어도 탁한 갈색이 될 뿐이어서 검은색(Key plate) 잉크를 별도로 사용한다. 키 플레이트(key plate)는 이미지의 윤곽 등 세부를 표현하기 위해 사용되는 인쇄판으로, 보통 검은색 잉크만 사용되었다. 또한, K는 "black"의 약자로 알려져 있지만, 이는 잘못된 상식이며 원래는 오류이고, 검은색은 Bk로 표기한다. 일본의 인쇄 업계에서는 검은색 잉크를 스미라고 부르기도 한다. 인쇄물에서는 검은색이 문자 등에서 많이 사용되기 때문에 잉크 절약에도 도움이 되어 현재 가장 많이 사용된다.

3. 3. HSV 색 공간

HSV 색 공간은 색상, 채도, 명도를 기준으로 색을 구성하는 방식이다. 감산 혼합이나 가산 혼합보다 색상의 지정이 직관적[25]이기 때문에 시각 예술에서 자주 쓰인다.

HSV 색공간 모형


HSV는 HSB ('''h'''ue, '''s'''aturation, '''b'''rightness)라고도 불리며, 색상(hue), 채도(saturation), 명도(value)로 구성되어 있다. 컴퓨터에서 그림을 그릴 때나, 색 견본으로 사용된다. 이는 색을 색상 (색깔)과 채도라는 관점에서 생각할 경우, 가법 혼합이나 감법 혼합보다 자연스럽고 직관적이기 때문이다.

3. 4. CIE 색 공간

CIE 1931 XYZ 색 공간은 인간의 색 지각 측정을 기반으로 색 공간을 만들려는 최초의 시도 중 하나였으며, 거의 모든 다른 색 공간의 기반이 된다.[8] 국제 조명 위원회(CIE)는 컬러 매칭 실험을 통해 생성된 R, G, B 데이터를 바탕으로 CIEXYZ 색 공간, CIELAB 색 공간, CIELUV 색 공간을 정의했다.

1802년, 토머스 영은 눈에 세 가지 유형의 광수용체(현재 원추 세포로 알려짐)가 존재하며, 각 수용체는 특정 범위의 가시광선에 민감하다고 가정했다.[2] 1850년, 헤르만 폰 헬름홀츠는 영-헬름홀츠 이론을 발전시켜 세 종류의 원추 광수용체가 망막에 닿는 빛의 파장에 따라 단파장 선호 (파랑), 중파장 선호 (녹색), 장파장 선호 (빨강)로 분류될 수 있다고 주장했다. 세 종류의 원추 세포에서 감지된 신호의 상대적 강도는 에 의해 가시적인 색상으로 해석된다.

CIEXYZ 색 공간은 '균등 색 공간'이 아니어서, 이를 수식적으로 변환하여 CIELAB 색 공간과 CIELUV 색 공간을 만들었다. 이 두 색 공간은 색차 계산 시 비교적 정확한 결과를 제공한다. '균등 색 공간'은 색상, 채도를 나타내는 선들이 일정하게 배열되어 색 공간에서 두 점의 거리, 즉 색의 차이를 계산했을 때 정확하다. 반면, '불균등 색 공간'에서는 이러한 선들이 불규칙하게 배열되어 색차 계산이 정확하지 않다. 균등 색 공간은 색 공간에서의 거리와 간격이 인간이 지각하는 색의 거리 및 간격과 유사하도록 설계되었으며, 주로 공업 제품의 색채 관리에 사용된다.

CIERGB 색 공간은 CIE XYZ와 선형적으로 관련되어 있으며, CIELUV, CIEUVW, CIELAB 등은 CIE XYZ에서 파생된 색 공간이다.

3. 5. 상업적 색 공간



절대 색 공간을 정의하는 방법 중 하나는 페인트, 직물 등을 선택할 때 사용되는 견본 카드처럼, 두 당사자 간에 색상을 합의하는 것이다. 더 표준화된 방법으로는 팬톤 매칭 시스템(Pantone Matching System)이 있다. 이는 견본 카드와 상업용 인쇄업체가 특정 색상의 잉크를 만드는 데 사용할 수 있는 레시피를 포함하는 독점 시스템이다.

다음은 상업적 목적으로 사용되는 색 공간의 예시이다.

  • 팬톤(Pantone)
  • [http://coloro.kr/ 컬러로(Coloro)]
  • 먼셀 색상계
  • 내추럴 컬러 시스템(Natural Color System, NCS)

3. 6. 기타 색 공간

YIQ는 미국대한민국 컬러 텔레비전의 NTSC 방식에 쓰이는 색 공간이다.[9][10] YIQ는 휘도(輝度, luminance)와 빨강과 파랑에 대한 두 가지 색차값으로 색을 나타낸다. 이 색 공간은 PAL 방식에서 쓰이는 YUV와 관련이 깊다. 실제로 YIQ 색 공간은 YUV 색 공간을 33도 돌려놓은 것일 뿐이다. YIQ는 NTSC의 내부 처리에 사용되는 컴포넌트 방식이다. 일반적으로 외부로 출력되지 않고 기기 내부에서 사용되지만, 과거에는 파나소닉이 개발한 M비전 VTR이 테이프에 YIQ 신호를 컴포넌트 기록했다는 예도 있다.

RGB-YIQ 변환 공식은 다음과 같다.

: RGB

: Y=0.299R + 0.587G + 0.114B

: I=0.596R - 0.274G - 0.322B

: Q=0.211R - 0.523G + 0.312B

인간의 눈은 I축 (오렌지-라이트블루 간)의 변화에는 비교적 민감한 반면, Q축 (청자색-연두색 간)의 변화에는 둔감한 성질을 이용하였다. 조금이라도 좁은 대역으로, 조금이라도 시각적으로 양호한 결과를 얻고자 한 설계상의 선택에 의한 것이다. Y, I, Q에 대한 인간의 눈의 분해능 비는 4:1.5:0.5로 평가되며, RGB 4:4:4 신호를 YIQ 4:1.5:0.5로 변환함으로써, 인간의 눈에는 열화가 느껴지지 않으면서, 전송에 필요한 정보량을 줄인 신호를 얻을 수 있다. NTSC는 이 YIQ 신호를 직각 이상 변조한다.

YCbCrMPEG, JPEG 등과 같은 디지털 이미지 압축 형식에 많이 쓰인다. YPbPr은 YUV의 축척 버전이다. 이는 디지털 형태인 YCbCr에서 가장 흔하게 볼 수 있으며, 비디오 및 이미지 압축 방식(예: MPEGJPEG)에서 널리 사용된다.

유럽을 중심으로 (미국, 일본 및 미국의 영향이 강한 범위를 제외하고) 사용되는 PAL은 크로마에 IQ 성분 대신 UV 성분을 사용한다. 이는 현재 사용되는 Cb, Cr (또는 Pb, Pr) 성분과 유사하며, IQ 방식과는 색상이 다르다.

xvYCC는 IEC (IEC 61966-2-4)에서 발표한 새로운 국제 디지털 비디오 색 공간 표준이다. 이는 ITU BT.601BT.709 표준을 기반으로 하지만 해당 표준에 지정된 R/G/B 기본 색상보다 더 넓은 영역을 확장한다.

HSV ('''h'''ue, '''s'''aturation, '''v'''alue)는 HSB(색상, 채도, '''b'''rightness)라고도 하며, 종종 예술가들이 색상을 가산 또는 감산 색상 구성 요소로 생각하는 것보다 색상과 채도 측면에서 생각하는 것이 더 자연스럽기 때문에 사용한다.

HSL ('''h'''ue, '''s'''aturation, '''l'''ightness/'''l'''uminance)는 HLS 또는 HSI(색상, 채도, '''i'''ntensity)라고도 하며, "밝기"를 "밝기"로 대체하는 HSV와 매우 유사하다. 차이점은 순수한 색상의 ''밝기''는 흰색의 밝기와 같지만 순수한 색상의 ''밝기''는 중간 회색의 밝기와 같다는 것이다.

RG 색도 공간은 컴퓨터 비전 응용 분야에서 사용된다. 빛의 색상(빨강, 노랑, 녹색 등)은 보여주지만 밝기(어둡고 밝음)는 보여주지 않는다.

TSL 색 공간(색조, 채도 및 휘도)은 얼굴 감지에 사용된다.

초창기 색 공간은 두 개의 구성 요소로 이루어져 있었다. 3-성분 공정의 복잡성이 증가하는 것에 비해, 청색광은 무시되었는데, 이는 흑백에서 2-성분 색상으로 넘어갈 때의 화질 향상에 비해 그 효과가 미미했기 때문이다.

  • RG는 초기 테크니컬러 영화에 사용됨
  • RGK는 초기 컬러 인쇄에 사용됨

4. 표색계

표색계는 심리적 개념 또는 심리물리적 개념에 따라 색을 정량적으로 나타내는 체계이다. 일반적으로 세 가지 방향성을 갖춘 공간으로 표현되며, 색 공간을 구성한다. 표색계는 보이는 방식에 따라 색을 체계화하는 '''현색계'''와, 등색 실험에 기초하여 색을 정량화하는 '''혼색계'''로 분류된다.[17]

현색계는 색을 색의 세 가지 특징에 따라 배열하고, 그 간격을 조정하여 정합성을 높여 척도와 함께 제시하는 것이다. 먼셀 색상 체계, PCCS 등이 대표적인 예이다.[18] 혼색계는 색을 심리물리량으로 파악하여 색 자극의 특성에 따라 나타내는 것이다. 수치로 전달하는 경우에 적합하며, XYZ 표색계가 대표적인 예이다.

색의 구현 가이드가 엄격한 색 체계는 색을 직접 만들어내는 장면에 사용되는 경우가 많고, 그렇지 않은 색 공간은 색을 정보로서 전달하는 장면에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

수학적으로는 세 개의 변수가 있으면 모든 색을 표현할 수 있다고 말할 수 있다. 그러나 모든 색을 표시할 필요가 없는 상황이나, 그 외 실용상의 편의를 위해 2변수 이하, 또는 4변수 이상을 사용하는 색 공간도 있다. 또한 변수의 취득 방식도 다양하여, 목적에 따라 다종다양한 규격이 존재한다.

계산을 통해 어떤 색 공간에서 다른 색 공간으로 변환은 가능하지만, 변환 후의 색 공간에서 표현할 수 없는 색의 정보는 손실된다. 또한, 그 계산은 보통 불완전하다. 색을 다룰 때에는 가능한 색 공간을 통일하여 작업하는 것이 요구된다. 또한, 색 공간에는 컬러 프로파일로 기록 가능한 색 공간 (RGB, RGBA, YCbCr, CMYK, Lab 색상)과 기록할 수 없는 색 공간이 있다.

4. 1. 현색계 (Color Appearance System)

현색계(color appearance system영어)는 색의 세 가지 특징에 따라 색을 배열하고, 그 간격을 조정하여 정합성을 높여 척도와 함께 제시하는 방식이다.[18] 먼셀 색상 체계, PCCS, NCS, DIN 표색계 등이 대표적인 예시이다.

4. 1. 1. 먼셀 색상 체계

앨버트 먼셀이 1905년에 기초가 되는 개념을 발표하고, 1943년에 미국 광학회가 수정하여 완성한 색상 체계이다.[19][20] 색을 정리하고 색의 3속성을 척도화하여 숫자와 기호를 사용하여 정확하게 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19][20]

4. 1. 2. PCCS

일본색채연구소가 1966년에 발표한 색채 조화를 목적으로 하는 표색계이다.[18][19] 명도와 채도를 복합한 요소인 "톤"의 개념이 특징이며, 톤을 사용함으로써 실제 색의 이미지를 쉽게 파악할 수 있어 컬러 디자인에 적합하다.[19]

4. 1. 3. NCS (Natural Color System)

1981년 스웨덴에서 개발된, 색의 지각적 표현을 목적으로 하는 색상 체계이다.[18] 6가지 기본색의 배합으로 모든 색을 표현할 수 있다고 생각하며, 명도와 채도의 개념이 존재하지 않는다는 점이 특징이다.[18] 비교적 새로운 색상 체계이지만, 스웨덴, 노르웨이, 스페인 등의 공업 규격으로 채택되어 유럽을 중심으로 보급되고 있다.[21]

4. 1. 4. DIN 표색계

DIN 표색계는 M. 리히터 등의 색차에 관한 연구를 바탕으로 등색 공간의 실현을 목표로 한 표색계이다. 1955년에 DIN에 채택되었으며, 색표집도 간행되었다. 색은 색상, 명도, 채도로 표현된다. 헤링의 반대색설에 따르지만, 미국의 먼셀 표색계와 달리, 색상은 황색에서 시작한다. 이는 괴테의 사상과의 연관성이 지적[22]되고 있다.

4. 2. 혼색계 (Color Mixing System)

혼색계(color mixing system영어)는 색을 심리물리량으로 파악하여 색 자극의 특성에 따라 나타내는 방식이다. 수치로 전달하는 경우에 적합하며, CIE 표색계가 대표적인 예이다.[17]

4. 2. 1. 오스트발트 표색계

빌헬름 오스트발트가 고안한 색체계이다[23]. 색채 조화를 목적으로 하며 디자인 분야 등에서 이용되었고, PCCS의 톤에 의한 조화 개념에도 영향을 주었으며, DIN색체계에도 영향을 미쳤다[23].

4. 2. 2. CIE 표색계

CIE는 국제 조명 위원회(Commission internationale de l'éclairage프랑스어)의 프랑스어식 표기 준말이며, CIE 색 공간은 컬러 매칭 실험으로 생성된 R, G, B 데이터를 바탕으로 만들어진 CIEXYZ 색 공간, CIELAB 색 공간, CIELUV 색 공간이 대표적이다.

CIEXYZ 색 공간은 '균등 색 공간'이 아니어서, 이를 수식으로 변환하여 만든 것이 CIELAB 색 공간과 CIELUV 색 공간이며, 이 두 색 공간은 색차를 계산할 때 비교적 정확하게 계산된다. 여기서 '균등 색 공간'은 색 공간에서의 거리와 간격이 사람이 지각하는 색의 거리 및 간격과 유사하도록 설계된 공간을 말한다.

CIE가 정한 표색계는 다음과 같다.

CIExy 색도도

  • RGB 표색계: 원자극을 R(적색, 700nm), G(녹색, 546.1nm), B(청색, 435.8nm)로 하는 표색계이다. CIEXYZ 표색계를 만들기 위한 실험적 기반이다. 음수 값을 가지므로 실용적인 표색계는 아니며, 디스플레이 장치 등에서 사용되는 RGB 색 공간과는 다르다.
  • '''XYZ 표색계''': RGB 표색계를 변환하여 음수 값이 나타나지 않도록 1931년에 RGB 표색계와 동시에 정한 표색계이다. 다른 CIE 표색계의 기초가 된다. 원자극 XYZ는 대략 X가 적색, Y가 녹색, Z가 청색의 색 성분이라고 생각할 수 있지만, 모두 실존하지 않는 허색이다. Y는 녹색의 색 성분인 동시에 휘도를 나타내는 값이 된다.
  • '''xyY 표색계''': 수치와 색의 관련성을 더 알기 쉽게 하기 위해 XYZ 표색계에서 고안되었다.

:x = \frac{X}{X+Y+Z}\,

:y = \frac{Y}{X+Y+Z}\,

:Y는 XYZ의 Y를 그대로 사용한다. 이 x와 y를 색도 좌표라고 부르며, 모든 색은 x와 y에 의한 2차원 평면, 및 명도를 나타내는 Y로 표현할 수 있다.

  • '''L*u*v* 표색계''': CIE가 1976년에 정한 균등 색 공간 중 하나로, CIELUV (엘스타, 유스타, 브이스터)는 빛의 파장을 기초로 고안된 것이다. XYZ 표색계의 xy 색도도의 파장 간격의 균등성을 개선한 것이다.
  • '''L*a*b* 표색계''': CIEL*a*b* (엘스타, 에이스터, 비스 터, 관용적으로 씨랩)는 XYZ에서, 지각과 장치의 차이에 따른 색차를 측정하기 위해 파생되었다. L*는 Luminosity(명도)를 의미한다. 1976년에 권고되었으며, 균등 색 공간이다.

5. 색 공간의 역사



토머스 영헤르만 폰 헬름홀츠는 눈의 망막이 빨강, 녹색, 파랑에 대한 세 가지 종류의 빛 수용체로 구성되어 있다고 가정했다. 1802년, 토머스 영은 눈에 세 가지 유형의 광수용체(현재 원추 세포로 알려짐)가 존재한다고 가정했는데, 각 수용체는 특정 범위의 가시광선에 민감했다.[2] 1850년에 헤르만 폰 헬름홀츠는 영-헬름홀츠 이론을 더 발전시켜, 세 종류의 원추 광수용체가 망막에 닿는 빛의 파장에 대한 반응에 따라 단파장 선호 (파랑), 중파장 선호 (녹색), 장파장 선호 (빨강)으로 분류될 수 있다고 주장했다. 세 종류의 원추 세포에서 감지된 신호의 상대적 강도는 에 의해 가시적인 색상으로 해석된다. 그러나 그들이 색상을 색 공간의 점으로 생각했는지는 불분명하다.

색 공간 개념은 헤르만 그라스만에 기인했을 것으로 보이는데, 그는 이 개념을 두 단계로 발전시켰다. 첫째, 그는 기하학적 개념을 ''n''차원 공간에서 대수적으로 표현할 수 있게 해주는 벡터 공간에 대한 아이디어를 개발했다.[3] Fearnley-Sander (1979)는 그라스만의 선형대수학 기초를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4]

선형 공간(벡터 공간)의 정의는 헤르만 바일 등이 공식적인 정의를 발표하면서 1920년경에 널리 알려지게 되었다. 사실, 그러한 정의는 30년 전에 주세페 페아노에 의해 제시되었는데, 그는 그라스만의 수학적 연구에 정통했다. 그라스만은 공식적인 정의를 제시하지 않았지만 당시에는 그러한 언어가 없었다. 하지만 그가 그 개념을 가지고 있었다는 데는 의심의 여지가 없다.

이러한 개념적 배경을 바탕으로, 1853년 그라스만은 색상이 혼합되는 방식에 대한 이론을 발표했으며, 이 이론과 세 가지 색상 법칙은 여전히 그라스만의 법칙으로 가르쳐지고 있다.[5] 그라스만이 처음 언급했듯이 빛 집합은 무한 차원 선형 공간에서 원뿔의 구조를 갖는다. 결과적으로, 빛 원뿔의 몫 집합 (메타머리즘에 대한)은 원뿔 구조를 상속받아 색상을 3차원 선형 공간에서 볼록 원뿔로 표현할 수 있게 되며, 이를 색상 원뿔이라고 한다.[6]

6. 색 공간 변환

색 공간 변환은 색상의 표현을 한 기준에서 다른 기준으로 변환하는 것이다. 이는 일반적으로 한 색 공간으로 표현된 이미지를 다른 색 공간으로 변환하는 맥락에서 발생하며, 목표는 변환된 이미지가 원본과 가능한 한 유사하게 보이도록 하는 것이다.[1]

일반적으로, 하나의 절대 색 공간의 색상은 다른 절대 색 공간으로 변환될 수 있으며 다시 원래 색 공간으로 변환될 수 있다. 그러나 일부 색 공간은 색역 제한이 있을 수 있으며, 해당 색역을 벗어나는 색상을 변환하면 정확한 결과를 얻을 수 없다. 또한, 특히 구성 요소당 256개의 고유 값(8비트 색상)만 사용하는 경우 반올림 오류가 발생할 가능성이 크다.[2]

절대 색 공간 정의의 한 부분은 시각 조건이다. 서로 다른 자연 또는 인공 조명 조건에서 동일한 색상을 보면 다르게 보이기 때문에, 색상 일치와 관련된 전문가는 표준화된 조명으로 밝혀진 시각실을 사용하기도 한다.[2]

HSL과 HSV 공간은 RGB의 매핑으로 정의되는데, 이들은 둘 다 비절대적이지만 이들 간의 변환은 동일한 색상을 유지해야 한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두 개의 비절대 색 공간(예: RGB에서 CMYK) 또는 절대 및 비절대 색 공간 간(예: RGB에서 L*a*b*)의 변환은 거의 무의미한 개념이다.[2]

7. 절대 색 공간

색채 측정학에서 '''절대 색 공간'''은 색상의 해석이 외부 요인에 대한 참조 없이 색도적으로 정의되는 색 공간이다.[14][15]

CIEXYZ, sRGB, ICtCp는 일반적인 RGB 색 공간과 대조적으로 절대 색 공간의 예이다.

비절대 색 공간은 절대 색도량과의 관계를 정의하여 절대 색 공간으로 만들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니터의 빨강, 녹색 및 파랑 색상이 모니터의 다른 속성과 함께 정확하게 측정되면 해당 모니터의 RGB 값은 절대 값으로 간주될 수 있다. CIELAB 색 공간은 절대 값으로 만들려면 백색점 사양이 필요하지만, 절대 색 공간이라고도 한다.[16]

RGB와 같은 색 공간을 절대 색상으로 만드는 일반적인 방법은 RGB의 속성을 포함하는 ICC 프로파일을 정의하는 것이다. 이것이 절대 색상을 표현하는 유일한 방법은 아니지만 많은 산업에서 표준이다. 널리 사용되는 프로파일로 정의된 RGB 색상에는 sRGB 및 Adobe RGB가 있다. ICC 프로파일을 그래픽 또는 문서에 추가하는 프로세스를 때때로 "태깅" 또는 "임베딩"이라고 한다. 따라서 태깅은 해당 그래픽 또는 문서에서 색상의 절대적인 의미를 표시한다.

참조

[1] 논문 The Metric of Color Space http://www2.mat.dtu.[...] 2023-11-28
[2] 논문 Bakerian Lecture: On the Theory of Light and Colours 1802
[3] 문서 Hermann Grassmann and the Creation of Linear Algebra http://www.maa.org/s[...]
[4] 논문 Hermann Grassmann and the Creation of Linear Algebra https://www.tandfonl[...] 1979-12
[5] 논문 Zur Theorie der Farbenmischung https://zenodo.org/r[...]
[6] 논문 The geometric structure of color
[7] 웹사이트 Why You Need to Know What Color Bit Depth Your Display Supports https://www.lifewire[...] 2022-07-04
[8] 문서 50 years of the 1931 CIE Standard Observer 1981
[9] 문서 YUV and 'luminance' considered harmful: a plea for precise terminology in video http://poynton.com/p[...]
[10] 문서 Constant Luminance http://poynton.com/n[...] 2004
[11] 웹사이트 Color Spaces in Frame Grabbers: RGB vs. YUV http://www.sensoray.[...] 2008-04-08
[12] 서적 Industrial Color Testing: Fundamentals and Techniques https://books.google[...] Wiley-VCH
[13] 서적 Industrial Inorganic Pigments https://books.google[...] Wiley-VCH
[14] 서적 Java 2D Graphics https://archive.org/[...] O'Reilly
[15] 서적 Human Vision and Electronic Imaging XII https://books.google[...] SPIE
[16] 서적 Optical Sensors and Sensing Systems for Natural Resources and Food Safety and Quality https://books.google[...] SPIE
[17] 서적 色彩工学入門 定量的な色の理解と活用 森北出版株式会社
[18] 서적 カラーデザインのための色彩学 オーム社
[19] 서적 色の事典 色彩の基礎・配色・使い方 西東社
[20] 웹사이트 仕事で使える色彩学 #03 マンセルカラーシステム https://www.toyoink1[...] 2021-07-07
[21] 웹사이트 仕事でつかえる色彩学 https://www.toyoink1[...] 2021-07-08
[22] 서적 色彩学概説 東京大学出版会
[23] 웹사이트 オストワルト表色系とは https://www.dic-colo[...] 2021-07-12
[24] 문서 정확한 색상
[25] 문서 HSV 색 공간의 색은 '어둡고 흐린 파랑'과 같이 언어로 표현하기에 적합하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